청각지능(음성인식 / 향상 / 위치추적)
음원 위치 추적
인간의 두 귀에 해당하는 두 센서로 들어오는 신호의 시간차(interaural time difference)나 세기차(interaural intensity difference)를 이용하여 각 음원들의 방향을 찾아내거나, 입력 신호 중에서 잡음원 성분을 제거하면서 원하는 음원 성분을 강화하는 음질향상을 수행한다.

독립성분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을 이용한 신호처리
혼합신호를 다수의 센서로 얻고 음원신호 자체와 환경에 관한 정보의 도움을 받지 않고 센서신호만을 이용하여 음원신호를 복원하는 신호처리 기법이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혼합신호를 구성하는 각 음원신호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음원신호를 추출하여 음질향상을 꾀할 수 있고, 그 음원이 음성이면 음성향상 및 잡음하 음성인식(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처리 기법으로도 자주 활용된다.

또한, 기존의 단순 증폭 기능만을 가진 보청기를 넘어선 잡음 제거와 원하는 음성 성분 강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보청기나 인공 청각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